테크조선
  • Company
    • Amazon
    • Apple
    • Google
    • Facebook
    • Microsoft
    • Samsung
    • Chinese Company
    • Others
  • Headline
  • Column
  • Special Report
    • Amazon2014
    • MOOC2014
    • HUAWEI 2014
    • Google 2014
    • 한국 인터넷 대중화 20년
    • 스마트클라우드쇼2014
    • 구잘대
    • 드론2014
    • WWW2014
    • MWC2014
    • CES2014
    • DELL2014
    • 실리콘밸리 현장을 가다 2013
  • Event

MWC2014

[MWC 2014]⑧ 2015년을 위한 추가 질문

3월 12, 2014 No Comments 유인선

정선미 기자 smjung10@chosun.com 장우정 기자 woo@chosun.com ①모바일 메신저 거품 논쟁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페이스북은 모바일 메신저 왓츠앱을 160억달러, 한화로 약 17조원에 인수하기로 했다. 대부분을 주식(120억달러)으로 지급한다는 점을 감안해도 엄청난 인수가다. 천문학적인 모바일 메신저 가치, 과연 거품일까 아닐까. 페이스북은 이미 자체 메신저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도 가입자당 1년에 1달러를 받는 왓츠앱에 수백억달러를 지불한 것이 옳은 결정일까.

[MWC 2014]⑦ 초소형 반도체·센서·빅데이터 차세대 주인공 예약

3월 12, 2014 No Comments 유인선

박정현 기자 jenn@chosun.com 인터넷에 연결되는 사물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서 네트워크, 데이터센터, 센서 등을 담당하는 부품업체들도 핵심 플레이어로 떠올랐다.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14에선 사물인터넷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기술들을 보유한 부품·IT업체들이 대거 참석했다. 전동 칫솔처럼 아날로그라 하더라도 통신 기능을 갖춘 디지털 센서를 붙이면 된다. 센서는 통신 기능을 갖춘 반도체 칩과 단순히 체온이나 심장박동수를 측정하는

[MWC 2014]⑥ 사물인터넷이 삶에 들어왔다

3월 12, 2014 No Comments 유인선

박정현 기자 jenn@chosun.com 초인종, 자동차, 손목시계, 칫솔, 심박 측정기, 온도계, 간식 자판기, 수퍼마켓…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14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IoT)이 우리 삶에 어떻게 녹아들고 있는지 한 눈에 실감할 수 있는 자리였다. 지난 5년동안 MWC가 스마트폰, 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와 이동통신기술의 경연장이었다면, 2014년 MWC는 사물인터넷이 주연급 조연으로 각광받았다. 생활용품 회사 프록터앤갬블(P&G)의 오랄비(Oral

[MWC 2014]⑤ 脫안드로이드 진영(타이젠·파이어폭스)은 계란으로 바위 치기

3월 12, 2014 No Comments 유인선

장우정 기자 woo@chosun.com MWC에서는 매년 구글 안드로이드와 애플 iOS의 모바일 운영체제(OS) 양강(兩强) 구도에 도전하는 ‘제3의 OS’가 등장한다. 올해도 마찬가지였다. 최소 36개 통신사가 파이어폭스·타이젠·우분투 같은 OS와 손잡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전 세계 스마트폰 점유율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안드로이드와 iOS를 잡기에는 요원한 도전이라고 보는 시각이 많다. MWC를 개최하는 세계 이동통신사업자 협회(GSMA)는 “앞으로 몇 년

[MWC 2014]④ 웨어러블 기기 주연급으로 부상

3월 12, 2014 No Comments 유인선

장우정 기자 woo@chosun.com 삼성전자는 이번 MWC에서 갤럭시S5와 함께 ‘삼성 기어’ 3종을 동시에 공개했다. 기존에 내놨던 스마트폰 연동형 기어와 함께 사용자의 신체 상태나 활동을 기록하는 ‘라이프 로그(lifelog)형’ 제품인 ‘삼성 기어 핏’을 전격 선보였다. 신종균 사장은 “지난해 웨어러블 기기의 가능성이 입증됐다면, 올해부터는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할 것”이라며 “올해부터 (삼성) 웨어러블 기기가 실적에 기여할 수

[MWC 2014]③ 태블릿 잠식하는 패블릿 시대 개막

3월 12, 2014 No Comments 유인선

장우정 기자 woo@chosun.com ‘스마트폰은 클수록 좋다?’ 5인치가 넘는 대형 스마트폰이 잇따라 쏟아지면서 ‘스마트폰은 작을수록 좋다’는 말은 옛말이 됐다.고(故) 스티브 잡스 애플 창업자가 한 손에 꼭 쥘 수 있는 크기로 아이폰을 만드는 데 집착하면서 생겼던 이 원칙은 애플마저 차기 스마트폰에서 ‘4인치’ 장벽을 깰 것으로 점쳐지면서 사실상 사망선고를 받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올해 MWC에 등장한 스마트폰 신제품만 봐도, 화면 대형화 추세는 뚜렷하다. 삼성전자를 비롯해 소니, 화웨이, ZTE 등이 5인치에서 최대 7인치에 달하는 대형 크기의 스마트폰 신제품을 내놨다. 태블릿PC가 대개 7인치 정도의 크기인 만큼 태블릿 시장 성장세는 주춤할 수밖에 없다. 대형 스마트폰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는 건 삼성전자다. 삼성전자는 애플을 따라잡는 과정에서 화면크기를 차별화 무기로 내세웠다. 2010년 5월 갤럭시S를 아이폰보다 0.5인치 큰 4인치 크기로 내놨고, 이후 갤럭시S2(4.3인치)·갤럭시S3(4.8인치)·갤럭시S4(5인치)로 시리즈를 진화해 나가면서 크기를 꾸준히 키웠다. 올해 MWC에서 공개한 갤럭시S5 역시 5.1인치였다. 대형 스마트폰 시리즈인 갤럭시 노트 최신 모델(갤럭시노트3)의 경우 5.7인치다. 삼성전자의 차별화 전략은 스마트폰으로 영화 등 각종 콘텐츠를 즐기는 분위기와 맞물리면서 사용자들의 니즈와 맞아떨어졌다. 다른 스마트폰 제조사들도 앞다퉈 대화면 스마트폰 경쟁에 가세했다.이른바 ‘패블릿(phablet)’이라는 용어까지 생겨났다. 패블릿이란 전화를 뜻하는 폰(phone)과 태블릿(tablet)을 합친 것으로, 스마트폰이 태블릿PC에 준하는 5인치 이상의 화면 크기를 가진 경우를 말한다. 신종균 삼성전자 IM(IT·모바일) 부문 사장은 MWC 2014 개막 하루 전날인 2월 23일(현지시각)기자들과 만나 “대화면 스마트폰은 삼성전자가 만든 업계 카테고리다. 그쪽에서도(애플 지칭) 여기로 온다고 한다. 대화면 스마트폰은 포트폴리오가 많이 있는 만큼 시장에서 경쟁해봐야할 것 같다”고 말했다. 올해 MWC에서 중국 화웨이가 공개한 ‘미디어패드 X1’은 패블릿으로 불리기에 가장 손색없는 제품으로 꼽혔다. 미디어패드 X1은 태블릿PC 크기와 맞먹는 7.2인치 화면크기를 갖고 있다. 리처드 유(Richard Yu) 화웨이 최고경영자(CEO)는 “미디어패드 X1은 (일반적인 태블릿과 달리) 전화가 되는만큼 ‘패블릿’”이라고 소개했다. 소니는 5.2인치 크기의 ‘엑스페리아 Z2’를 선보였다. 중국 ZTE도 6인치의 ‘그랜드메모 2’를 내놨다. 대화면 스마트폰이 인기를 끌수록 장기적으로 태블릿PC 존재는 위협받을 수밖에 없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패블릿이 태블릿 성장세를 잠식하기 시작했다”며 “큰 스마트폰으로 태블릿으로 할 수 있던 일도 처리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시장조사기관 IDC는 “세계 최대 스마트폰 시장인 중국에서 2014년 패블릿이 전체 스마트폰 판매량 가운데 30%를 웃돌 것이며, 이 수치는2017년 50%까지 올라갈 것”이라고 예측했다. Powered by Tech Chosun

[MWC 2014]② 스마트폰 스펙 경쟁 끝… 본격적인 가격 경쟁 시작

3월 12, 2014 No Comments 유인선

장우정 기자 woo@chosun.com 박정현 기자 jenn@chosun.com 올해 MWC에서 공개된 삼성전자의 ‘갤럭시S5’는 1600만 화소(畵素) 카메라와 전 세계 처음으로 탑재한 심장 박동 측정 센서, 생활방수 기능, 지문 인식 기능 등 하드웨어 측면에서 적지 않은 진보를 이뤘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애플, LG전자, 소니, 화웨이 같은 경쟁사의 하드웨어 스펙이 상향 평준화된 탓에 갤럭시S5가 깜짝 놀랄 수준의

[MWC 2014]ⓛ 뛰는 통신사 위에 나는 메신저

3월 12, 2014 No Comments 유인선

정선미 기자 smjung10@chosun.com 매년 2월 스페인 바로셀로나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모바일·통신전시회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는 모바일 기술을 둘러싼 패권 경쟁을 한눈에 보여준다.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가 주최하는 MWC는 한때 이동통신사와 통신장비회사, 휴대전화 제조사들의 잔치였지만, 최근엔 모바일과 융합한 새로운 제품과 비즈니스 모델이 선보이는 무대로 탈바꿈하고 있다. 2014년 MWC는 스마트폰이 무대 중심에서 서서히 퇴장을 준비하는 대신 ‘웨어러블’과 ‘사물인터넷’이 본선

조선비즈

Search

많이 본 뉴스

  • [weekend] 한국에도 전자책 무제한 서비스 있다…다만, 클릭품이 들 뿐 posted on 8월 10, 2014
  • 통신사가 절대 가르쳐주지 않는 스마트폰 해외 분실 대책 posted on 7월 4, 2013
  • [weekend] 코세라 신청해보니, 매주 20분짜리 5~6개 들어야 posted on 5월 17, 2014
  • 전 세계 1만개 넘는 무크 강좌 정보 총정리 posted on 9월 30, 2013
  • “1조원짜리 포르노 사이트야”…텀블러 체험기 posted on 5월 23, 2013

최신 뉴스

  • 아카이브구축_일지_펜맨_20161125

    11월 25, 2016

  • [CES 2016 결산] 로봇·VR·3D 무한진화…9가지 키워드로 본 IoT 시대의 개막

    1월 12, 2016

  • 2015년 12월 29일자 글로벌 헤드라인

    12월 29, 2015

  • [미리보는 CES 2016]⑤ 미래 산업의 가늠자 ‘핵심 부품’…모바일 넘어 車·바이오

    12월 28, 2015

  • [미리보는 CES 2016]④ 로봇이 온다…드론·증강현실 차세대 기술의 향연

    12월 28, 2015

페이스북

About

테크조선은 테크놀로지 분야의 깊이 있는 기사를 제공하고 쌓아갑니다. 세월이 흘러도 가치 있는 정보 생산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Popular Posts

  • [weekend] 한국에도 전자책 무제한 서비스 있다…다만, 클릭품이 들 뿐 posted on 8월 10, 2014
  • 통신사가 절대 가르쳐주지 않는 스마트폰 해외 분실 대책 posted on 7월 4, 2013
  • [weekend] 코세라 신청해보니, 매주 20분짜리 5~6개 들어야 posted on 5월 17, 2014
  • 전 세계 1만개 넘는 무크 강좌 정보 총정리 posted on 9월 30, 2013
  • “1조원짜리 포르노 사이트야”…텀블러 체험기 posted on 5월 23, 2013

Categories

  • Column (115)
  • Company (2,279)
    • Amazon (189)
    • Apple (442)
    • Chinese Company (180)
    • Facebook (228)
    • Google (397)
    • Microsoft (230)
    • Others (610)
    • Samsung (153)
  • Event (12)
  • Headline (1,495)
  • Special Report (249)
    • Amazon2014 (7)
    • CES2014 (9)
    • CES2016 (5)
    • DELL2014 (5)
    • Google 2014 (10)
    • MOOC2014 (45)
    • MWC2014 (8)
    • WWW2014 (8)
    • 구잘대 (13)
    • 드론2014 (7)
    • 스마트클라우드쇼2014 (91)
    • 실리콘밸리 현장을 가다 2013 (5)
    • 한국 인터넷 대중화 20년 (21)

Meta

  • 로그인
  • 글 RSS
  • 댓글 RSS
  • WordPress.org
© Copyright 2018. All rights reserved.
Theme made by Different Themes